본문 바로가기
생활 정보

제21대 대통령 대선 후보자 주요 공약,정책 정리

by 한입지식. 2025. 5. 14.

 

각 후보자별 자세한 정책,공약을 살펴보려면

 

📌 기호 1번: 이재명 (더불어민주당)

  • 경제: '세계 선도하는 경제 강국'을 목표로, 인공지능(AI) 산업에 100조 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.
  • 사회: 검찰·군·사법 개혁을 통한 권력기관의 고강도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
  • 복지: 청년, 아동, 어르신 등 전 세대를 아우르는 복지 강화 정책을 제시했습니다.

📌 기호 2번: 김문수 (국민의힘)

  • 경제: '기업하기 좋은 나라'를 위한 규제 철폐와 '자유경제혁신 기본법' 제정을 공약했습니다.
  • 기술: AI 분야에서 세계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.
  • 청년: 청년 재직자 도약장려금, 도약계좌 등 청년 지원 정책을 발표했습니다.

📌 기호 4번: 이준석 (개혁신당)

  • 정부 개혁: 현재 19개 부처를 13개로 축소하고, 대통령 권한 분산을 위한 3부총리제 도입을 제안했습니다.
  • 경제: 해외이전 국내기업의 리쇼어링 지원과 법인세 부담 완화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겠다고 밝혔습니다.
  • 청년: 청년에게 5,000만 원 한도의 저리 대출을 제공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습니다.

📌 기호 5번: 권영국 (민주노동당)

  • 노동: 근로기준법 적용을 받지 못하는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보호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
  • 성평등: 모든 정책의 기조로 성평등을 설정하고, 여성 공약을 발표했습니다.

 

📌 기호 6번: 구주와 (자유통일당) - 5월 18일 사퇴

  • 관광: 제주도를 '한국판 라스베가스'로 개발하여 연간 관광객 2,000만 명 유치와 일자리 10만 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
 

📌 기호 7번: 황교안 (무소속)

  • 안보: 국가정보원의 대공수사권 복원을 골자로 하는 공약을 발표했습니다.
  • 선거제도: 부정선거 척결을 위한 강력한 조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

 

📌 기호 8번: 송진호 (무소속)

  • 경제: 민생경제 해결을 위한 실천형 경제 대통령을 자처하며, 구체적인 공약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.

 

 

📊 결론

각 후보자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정책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 경제, 사회, 복지, 안보 등 각자의 우선순위와 접근 방식이 다르므로, 유권자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관심사에 맞는 후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번 선거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기회이므로, 후보자들의 공약을 꼼꼼히 살펴보고 신중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.